지난달부터 수도권에 러브버그(붉은등우단털파리)가 대량으로 발생한 가운데, 만화영화 등 콘텐츠로 러브버그의 이미지를 개선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서울연구원은 1일 '서울시 유행성 도시해충 대응을 위한 통합관리 방안' 정책리포트에서 "최근 국내 연구에 따르면, 동아시아 러브버그 분포 확률 예측 모델에서 현재와 같은 추세로 기온 상승이 지속될 경우 2070년에는 한반도 전역에 러브버그의 확산이 예측된다"고 전망했다.
다만 살충제에 의존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게 서울연구원의 견해다. 2011년 가습기 살균제 사건을 계기로 살생물제 관리 필요성이 부각됐다는 것이다.
서울연구원은 "이 사건(가습기 살균제 사건) 이후 생활화학제품 및 살생물제의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이 제정돼 2019년 1월 1일부터 시행됐다"며 "국내에서 제조, 수입되는 살생물물질 및 제품은 판매, 유통 전에 환경부의 사전 승인이 필요하다"고 짚었다.
그러면서 서울연구원은 살충제의 경우 최후의 수단으로 활용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서울연구원은 "방제 전략 수립 시 비화학적 방제 방법을 우선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해충 종별 특성과 서식 환경에 따라 효과나 적용 방식이 상이하므로 전문가 자문과 과학적 근거에 기반을 둔 맞춤형 방제 전략이 요구된다"며 "비화학적 방제의 적용이 어려운 경우에 한해 화학물질을 최후의 수단으로 사용하되 인체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적용돼야 한다"고 밝혔다.
서울연구원은 또 민간 콘텐츠를 활용해 러브버그와의 공존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하기도 했다.
서울연구원은 "교육 위주 콘텐츠는 시민들의 흥미를 이끌어내기 어렵다. 최근 정부 부처 및 지자체에서 홍보 방안으로 흔히 활용되는 1인 미디어(유튜브 등)를 통한 홍보 계획을 세울 수 있다"며 "지역 맞춤형 콘텐츠를 활용한 창의적 홍보는 행정 신뢰도를 높이고 시민 참여를 촉진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고 제안했다.
나아가 물에 사는 동물인 해면을 활용한 만화영화 '네모바지 스폰지밥(SpongeBob SquarePants)' 선례를 주목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서울연구원은 "환경에 해를 끼치지 않는 곤충(러브버그, 동양하루살이 등)을 친환경 생물로 인식시키는 콘텐츠 개발은 생태교육 효과를 높일 수 있다"며 "이와 유사한 예로 네모바지 스폰지밥의 작가는 해양 생물학적 지식을 토대로 흥미와 교육 효과를 동시에 유도한 좋은 사례"라고 조언했다.